본문 바로가기
RC

BETAFPV LiteRadio2SE 무선 시뮬레이터 사용

by 뿅이아빠 2025. 3. 15.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BETAFPV Lite Radio 2 SE 송신기 설정 및 무선 시뮬레이터 사용방법입니다.
RadioMaster TX16S와 XSR-SIM 동글을 이용한 무선 시뮬레이터 환경을 만들어 두었지만 TX16S 송신기가 크고 무겁다 보니 연습을 자주 안 하게 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ㅎㅎ
그래서 일단 시뮬레이터를 자주, 편하게 하기 위해 가벼운 송신기를 하나 준비했습니다.

참고로 TX16S와 XSR-SIM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환경은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https://junghwan.net/389

 

TX16S와 XSR-SIM 바인딩 후 리프트오프 설정

레이싱 드론 시뮬레이터를 위해 무선 동글을 마련 했습니다. ㅎㅎ 기존에는 유선으로 사용을 했었는데 좀 불편한 점이 있어서 무선 컨버터 제품을 알아보던 중 FrSky 송신기용 무선 모듈이 이미

junghwan.net

 

I. BETAFPV LiteRadio 2 SE 송신기 설정

BETAFPV LiteRadio2 SE

LiteRadio2 SE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Type C 케이블로 PC와 연결하여 시뮬레이터용 조이스틱으로 사용 가능
 - BETAFPV Configurator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및 설정 가능
 -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 : Futaba S-FHSS, Frsky D8, D16 FCC, D16 LBT
  * Frsky D16은 ACCST 1.x만 지원되며, ACCST 2.x이나 ACCESS 버전은 지원 안 함 (이 부분은 별도 설명드릴게요~)
  * ExpressLRS 지원되는 모델도 있으나 저는 Frsky 버전을 구입했습니다.
 - 1000mAh 배터리 내장으로 최대 8시간 정보 사용 가능(제조사 제원 기준)

LiteRadio2 SE  송신기의 각 부분 명칭을 확인하고 설정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LiteRadio2 SE 앞면

8 채널 지원되며, 토글스위치가 4개 있지만 제 경우엔 주로 시뮬레이터 전용 조종기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저는 Mode1을 사용하므로 오른쪽 스틱이 쓰로틀입니다.
참고로 처음 접한 RC의 종류에 따라 스틱을 부르는 이름이 조금 다릅니다.
피치=엘리베이터, 요=테일, 롤=에일러론

 

LiteRadio2 SE 뒷면

뒷면에는 셋업버튼(스틱 재정렬)과 바인딩버튼이 있습니다.
하단(아래쪽)에는 3.5mm 오디오잭 연결포트와 충전 및 PC연결을 위한 USB 타입 C 포트가 있습니다.

이제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전원 On/Off
 - 전면의 전원버튼을 3초간 눌러 "도~레~미~" 소리가 날 때까지 누르고 있으면 켜집니다.
 - 종료 시에는 "미~레~도~"

 

2. 상태 LED (전원버튼 테두리 LED 링)

LED 링 상태 이유 해결책
빨간색이 계속 켜져 있음 스로틀 스틱이나 스위치 경고 스로틀이나 스위치를 내림
빨간색이 빠르게 깜빡임 송신기 바인딩 중 바인딩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파란색이 천천히 깜박임 배터리 저전압 한계 도달 송신기 충전
빨간색이 천천히 깜빡임 충전 중  
초록색이 천천히 깜빡임 충전 완료  

 

3. 수신기와 바인딩
 - 수신기와 바인딩을 하기 위해선 프로토콜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제가 구입한 Frsky 버전의 LiteRadio 2 SE 송신기는 4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프로토콜 설명
Frsky D16 FCC Frsky D16 (ACCST 1.x 버전만 지원함)
*ACCST 2.x 또는 ACCESS 버전은 지원안함
Frsky D16 LBT
Frsky D8 Frsky D8 프로토콜 지원
Futaba S-FHSS 후타바 S-FHSS 프로토콜 지원

* 검색해 보니 Frsky에서 ACCST 2.x 이후부터 타사 송신기 연결 지원을 안 하네요.
* 이 때문에 XSR-SIM 모듈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사용에 조금 문제가 있었는데 그건 아래에서 설명할게요.

3.1. 프로토콜 선택
 - 프로토콜 변경방법은 PC와 연결해서 컨피거레이터로 설정하는 방법과 버튼을 이용한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3.1.1. BETAFPV Configurator로 설정
 - 깃허브에서 BETAFPV Configurator 최신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 
 - URL : https://github.com/BETAFPV/BETAFPV_Configurator/releases

윈도우 버전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 합니다.

 - 송신기 전원을 끄고 USB 타입 C 케이블을 이용해서 PC와 연결합니다.
 - 설치한 BETAFPV Configurator를 실행합니다.

최초 실행 시 FC 모드 이므로 하단의 송신기 설정모드 버튼을 선택합니다.

 - 최신 펌웨어가 나온 경우에는 좌측상단의 "Firmware Flasher" 메뉴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 펌웨어는 BETAFPV 사이트에서 최신버전 확인 및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 URL : https://support.betafpv.com/hc/en-us/articles/4414348908057-LiteRadio-2-SE

 

우측 상단의 "Connect RC" 버튼으로 연결합니다.

 

송신기와 연결된 상태

 - 중간쯤에 있는 Internal RF system radio link protocol 메뉴에서 프로토콜을 선택합니다.
 - 우측 하단의 "Save and reboot" 버튼을 눌러서 저장합니다.

3.1.2. LiteRadio 2 SE 송신기에서 직접 설정
 - 송신기의 전원을 3초 정도 눌러서 전원을 끕니다.
 - 뒷면의 BIND 버튼을 누른 상태로 전원버튼을 눌러서 상태 LED의 점멸 횟수에 따라 프로토콜을 선택합니다.
 - 상태LED의 점멸 횟수에 따른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태 LED 프로토콜 버전
한번 깜빡임 Frsky D16 FCC (ACCST 1.X Version)
두번 깜빡임 Frsky D16 LBT (ACCST 1.X Version)
세번 깜빡임 Frsky D8
네번 깜빡임 Futaba S-FHSS

* Frsky D16 수신기의 경우 ACCST 1.x 버전만 바인딩이 가능합니다.
* ACCST 2.x 및 ACCESS 버전의 수신기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3.2. 바인딩
 - 수신기를 바인드 모드로 켭니다. (바인딩 모드 진입은 수신기에 따라 상이하므로 수신기 매뉴얼 참고)
 - 송신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뒷면의 BIND 버튼을 누릅니다.
 - 송신기 상태 LED가 빨간색으로 깜빡이다가 연결 후에는 파란색으로 켜집니다.
 * 바인딩이 안될 경우 프로토콜을 확인 후 다시 BIND 버튼을 눌러 재시도합니다.

4. 스틱 재정렬(Calibration)
 - 스틱 값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스틱값의 확인은 BETAFPV Configurato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송신기의 전원을 켠 후 뒷면의 SETUP 버튼을 누르면 "비비" 소리가 나고 상태 LED가 빨간색으로 점멸합니다.
 - 스틱으로 모두 중앙에 위치시키고 SETUP 버튼을 누르면 "비비비" 소리가 납니다.
 - 양쪽 스틱을 천천히 360도 2~3번 회전한 후 SETUP 버튼을 누르면 "비~" 소리가 길게 난 후 정렬이 완료됩니다.

 


II. 수신기 동글(Emulator Dongle)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활용
 - USB 타입 C 케이블로 PC와 연결을 하면 바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유선으로 사용하는 게 번거로워서 수신기 동글을 이용 해서 무선으로 시뮬레이터 환경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XSR-SIM
 - 기존 RadioMaster TX16s로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때는 FrSky의 XSR-SIM이라는 수신기 동글을 사용 했었습니다.

FrSky의 XSR-SIM

 - 위 동글을 이용 해서 TX16s에서 무선으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가벼운 송신기만 검색했었죠.
 - 문제는 LiteRadio 2 SE 송신기가 Frsky D16 ACCST 1.x만 지원을 한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 XSR-SIM은 ACCST 2.x이후 버전의 프로토콜만 지원한다는 거죠 ㅋ~

2. MC6C 동글
 - LiteRadio 2 SE 송신기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동글을 검색 하다 보니 적당한 제품이 있어서 주문을 했습니다.
 - GEEKRC의 MC6C라는 수신기 동글인데 아무래도 남의 회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품이다 보니 제조사나 모델명이 정확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ㅎㅎ

GEEKRC의 MC6C(?) 동글

 - 상태를 나타내는 2개의 LED와 옵션 변경을 위한 버튼이 전부입니다.

2.1. 지원 프로토콜 및 바인딩
 - 처음 전원을 연결하면 바인딩 모드로 진입합니다.
 - 다시 바인딩 모드로 변경하려면 20초 후 버튼을 한번 누르면 다시 바인딩 모드로 진입합니다.
 - 바인딩 모드 진입 후 버튼을 한 번씩 누를 때마다 지원 프로토콜이 변경됩니다.
 - 현재 선택된 프로토콜은 LED의 깜빡임 횟수와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 Codes Desc Protocol Led Color Transmitter
0 ----- 5long FUTABA, SFHSS T:Green
R:Green
T14SG, T16SZ/IZ, T18SZ,
T4PM, T1Opx, T7px, T6J
1 .---- 1S 4L RADIOLINK T:Red
R:Green
T8FB, T8S, RC8x, RC4GS, RC6GS
2 ..--- 2S 3L RADIOLINK_DUMBORC T:Blue
R:Green
DUMBORC
3 ...-- 3S 2L FRSKY_D8 T:Yellow
R:Green
X9D, X9D+, DJT, DHT
4 ....- 4S 1L FRSKY_D16FCC T:Purple
R:Green
FrSky D16, Taranis/XJT
5 -...- 1L 3S 1L FRSKY_D16LBT T:Red
R:Purple
FrSky D16, Taranis/XJT
6 -.... 1L 4S FRSKY_D16v2FCC T:Blue
R:Purple
FrSky D16, Taranis/XJT
7 --... 2L 3S FRSKY_D16v2LBT T:Yellow
R:Purple
FrSky D16, Taranis/XJT
8 ---.. 3L 2S AHDFS2A T:Purple
R:Purple
FS-i6/x/s, TH9x, i4X, NV14, GT5, iT3B/C, GT2E/G/F
9 ----. 4L 1S AHDFS T:Red
R:Blue
GT3B/C, GT2/B, FS-T6, T4B, CT6B
10 .-.-.- 1S 1L 1S
1L 1S 1L
MC6C T:Blue
R:Blue
MC6C, E6, MC7, MC8(after 2020.6.15..), MC10
11 ..--.. 2S 2L 2S WFLY2 T:Yellow
R:Blue
ET06, ET16/S, ET12, ET07, ET08,

 * 총 12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버튼을 한번 누를때마다 변경되며, 순환합니다.
 * Codes와 Desc를 참고해서 LED의 깜빡임 횟수로 확인하거나 LED의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des 및 Desc의 표기 '.' = S = Short = 짧게 깜빡임, '-' = L = Long = 길게 깜빡임
 * LED 색상의 T=TRANSMIT, R=RECEIVE입니다.
 - 원하는 프로토콜을 선택된 상태에서 바인딩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송신기에서 BIND 버튼을 눌러서 바인딩합니다.

참고로 저는 후타바 S-FHSS 프로토콜로 LiteRadio 2 SE 송신기와 연결했습니다.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윈도우 제어판의 "USB 게임 컨트롤러 설정"을 실행합니다.

시작 > "joy"로 검색해서 "USB 게임 컨트롤러 설정" 실행

 

케임 컨트롤서 설정

 - 우측 하단의 속성버튼을 선택합니다.

 

속성을 통한 송신기 연결 테스트

 -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송신기 스틱을 움직이면 화면의 커서가 따라서 움직입니다.
 - 상단의 "설정" 탭에는 보정하는 메뉴가 있으나 여기서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보정을 해야 할 경우에는 송신기 자체 보정(캘리브레이션) 후 사용하는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서 하면 됩니다.

 

2.2. 작업모드 확인
 - MC6C 동글의 경우 여러 가지 작업모드를 지원합니다. (비행기, 헬기를 위한 시뮬레이터)
 - 바인딩 완료 후 송신기를 끄고 수신기의 LED가 3초마다 몇 번 깜빡이는지로 작업(동작) 모드를 아래와 같이 확인합니다.

모드 LED 시뮬레이터
1. PHOENIX 3초마다 1번씩 점멸 피닉스 RC 5~6
2. XTR 3초마다 2번씩 점멸 리플렉스 XTR, 프리라이더, 리프트오프, DRL, HotProns, Next, 언크래시드, Heli-X
3. AERO 3초마다 3번씩 점멸 AEROFLY , Tryp Aero fligh RC, RealFIight 9.5
4. XBOX 360 3초마다 4번씩 점멸 All most any other games, such as Forza Horizon 5

 - 헬기를 했던 분들은 리얼플라이트(모드 3.AERO)를 전용 시뮬레이터 전용 송신기가 아닌 주력 송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겠네요.
 * 참고로 저는 요즘에 리프트오프랑 DRL만 가끔 하기 때문에 "2.XTR모드"로만 사용할 예정입니다.

 

2.3. 작업모드 변경
 - 바인딩이 완료된 후 송신기를 끄고, USB 동글을 재장착합니다.
 - 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LED가 3초마다 깜빡이는 횟수가 바뀌며 작업모드가 변경됩니다.
 - 원하는 모드의 LED 점멸 횟수가 되면 버튼에서 손을 뗍니다.
 * 즉,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3초마다 점멸 횟수가 1번~4번까지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이때 2번 점멸 후 손을 떼면 "2.XTR 모드"가 선택되는 겁니다.
 - LED가 빠르게 점멸한 후 다시 시작하면 모드 변경이 완료됩니다.

 

하나의 글에 많은 이야기를 담다 보니 글이 생각보다 길어졌네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R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X6 업그레이드 (센서 및 팬)  (0) 2024.09.08
HUINA 1550 업그레이드  (14) 2024.07.28
TX16s EdgeTX 한국어 사운드 제작  (19) 2024.06.06
NB4 송신기 스티어링휠 교체  (2) 2023.01.08
배터리 방전기 ISDT FD-100  (0) 2022.04.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