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X16S + Graupner Alpha 110 바인딩
H8 mini 및 UR65에 이은 그라우프너 알파 110 바인딩 관련 포스팅입니다. *^^*
멀티 프로토콜 시리즈를 한 번에 올리려고 했는데 자꾸 미루다 보니 장기전이 되어 버렸네요 ㅎㅎ


제 주력 인도어용 드론입니다. ㅎㅎ




기존 모델이 없는 경우에는 Create model을 선택해서 새로운 모델을 추가하면 됩니다.
모델 추가 시 기본 설정 방법은 아래 링크해 둔 H8 mini 바인딩 글을 참고하세요~
https://junghwan.net/373
TX16S + Eachine H8 mini 바인딩
지난 TX16S 화면 꾸미기에 이어 미니 기체 바인딩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ㅎ~ 처음으로 세팅할 기체는 Eachine H8 mini 드론입니다. 인도어 용으로는 상당히 괜찮은 드론입니다. 가벼워서 견적도 거의
junghwan.net
새로운 모델을 생성한 경우 아래 링크해 둔 [기본설정 및 화면꾸미기] 포스팅을 참고해서 기본설정을 합니다.
https://junghwan.net/370
TX16S 기본 설정 및 화면 꾸미기
지난 TX16S 펌웨어 업데이트에 이어 이번에는 기본 설정 및 위젯을 이용한 화면 꾸미기(커스텀 메인화면)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버튼의 조작법은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작성합니다. 부팅 화면은
junghwan.net
위 포스팅을 참고해서 아래와 같이 기본적인 화면구성을 해 줍니다.




[중요] 그라우프너 제품을 바인딩할 경우 이 설정을 가장 먼저 해줘야 합니다.
TX16S의 기본 채널 순서는 AETR 입니다만, 그라우프너 제품의 기본 채널 순서는 TAER입니다.
채널 순서를 바꾸는 작업을 가장 먼저 하셔야 합니다.

만약 이 작업을 하지 않고 바인딩할 경우 에일러론 스틱이 스로틀로 동작하여,
다치거나 드론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내부 모듈을 MULTI로 선택하고, 프로토콜은 HoTT, Sync로 선택합니다.
드론에 배터리를 연결하고 Bind를 선택하면 연결이 됩니다.

일부 프로토콜의 경우 주파수 튜닝을 해 주는 것이 좋으며 그라우프너 HoTT도 해당이 됩니다.
주파수 튜닝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알파110 드론에 배터리를 연결한다.
2. 위 이미지의 RF Freq. fine tune 항목을 변경해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한다.
- 우측의 RSSI 값을 보면서 RF Freq. fine tune의 값을 계속 변경해 봅니다.
- 연결이 끊어지지 않는 최소값 및 최대값을 구합니다.
3. 위에서 구한 값의 평균을 낸 후 RF Freq. fine tune에 입력합니다.
저의 경우 최소값:-21, 최대값:108로 평균은 43(43.5)이므로 RF Freq. fine tune에 43을 입력했습니다.


SF1 : 스로틀 홀드
SF2 : 스로틀 홀드 시 음성안내
SF3 : 스로틀 활성 시 음성안내
SF4 : 타이머 리셋
SF5 : 타이머 리셋 음성안내
SF6 : 노말 모드 음성안내
SF7 : 아크로 모드 설정
SF8 : 아크로 모드 음성안내

SF9 : 플립 모드 음성안내
SF10 : 일반 모드 음성안내
SF11 : VTX 채널 변경
SF12 : VTX 채널 변경 음성안내
여기까지는 기존 포스팅에서도 다루었고, 기본 모델을 복사할 경우 대부분 남아있는 설정이라 간단하게 작성했습니다.
다음은 텔레메트리 위젯 및 논리 스위치를 이용한 알람 설정을 해 보겠습니다.
먼저 텔레메트리 값을 이용한 논리 스위치를 생성해서 저전압 경고 및 온도 경고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신기 배터리가 3.3V미만이 되면 논리 값이 참이 되는 논리 스위치가 생성됩니다.

알파 110의 온도가 60도를 초과하면 참이 되는 논리 스위치가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SPECIAL FUNCTIONS으로 이동하여 해당 논리 스위치가 참이 되었을 때의 동작을 지정합니다.






다음은 메인화면(위 이미지 참고)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볼륨(VOL)과 화면 밝기(LCD)를 제거하고,
알파110 드론의 온도 및 전압을 표시해 주는 위젯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이상으로 설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추가적으로 그라우프너 송신기에서만 가능했던 수신기 및 FC 설정을 Lua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꼭 변경할 필요는 없으므로 따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혹시 설정이 필요하시면 오픈하비에서 알파110 매뉴얼을 다운로드하시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
아래는 바인딩 후 호버링 테스트 영상입니다.
https://youtu.be/KfSdEpcuvXI
처음 OpenTX 지원 송신기가 나왔을 때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타라니스 디자인이 맘에 안 들었던 이유도 있었고요 ㅎㅎ
(개인적으로 JR 짝퉁같이 생겨서 너무 맘에 안 들더군요. 차라리 후타바 짝퉁처럼 생겼으면 그나마 괜찮.....)
그러다가 라디오 마스터 TX16S가 나오면서 조금 관심이 가더군요.
액정도 크고 나중에 터치도 지원한다고 하고, 디자인도 무난하고 ㅎㅎ
그러던 중 인도어용 미니 드론들을 추가로 구입하면서 미니 드론 전용으로 구입했는데 생각보다 마음에 드네요 ㅎㅎ